728x90
반응형

API 7

[공공 데이터 API 활용] 산불 피해 최소화 - 6. 데이터 정의서 및 ERD

목차 데이터 목록 및 출처 데이터 테이블 정의서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데이터 전처리 방향 1. 데이터 목록 및 출처 기상청 - 관측 지점 정보 기상청 - 지상(종관, ASOS) 일 자료 기상청 - 지상(종관, ASOS) 시간 자료 산림청 - 산불 발생 현황 네이버 - 위도 경도 참조 첨부자료 2. 데이터 테이블 정의서 테이블 정의서 예시 3.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미작성 4. 데이터 전처리 방향 이상치 제거 결측치 치환 OR 제거 필요한 Column 추출

Project/Study 2023.05.26

[공공 데이터 API 활용] 산불 피해 최소화 - 3. Open API 및 데이터 수집

목차 1. Open API 2. 데이터 3. 논문 4. 기타 자료 1. Open API 수집 방법 참고: 2023.05.18 - [Python/Crawling] - [Python 실습 준비] 오픈API 활용하기(1) 오픈 API 요청키 생성 [Python 실습 준비] 오픈API 활용하기(1) 오픈 API 요청키 생성 Kaggle Competition에 이어 이번에는 오픈 API를 이용한 실습을 해보려고 한다. 오픈 API란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정의 및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james-choi88.tistory.com 2023.05.18 - [Python/Crawling] - [Python 실습 준비] 공공 데..

Project/Study 2023.05.23

[공공 데이터 API 활용] 산불 피해 최소화 - 2. 프로젝트 기획

목차 1. 서론내용 2. 데이터 수집 방법 3. 통계 분석 4. 결론 5. 역할 분담 1. 서론 내용 - 배경 1. 기사 등을 통해 대형산불상황에 대한 위험성을 언급 2. 기사 등을 통해 산불 예방의 중요성을 언급 3. 기사 등을 통해 산불을 초기에 진화의 중요성을 언급방법 2. 데이터 수집 방법 - 문헌/전문가 1. 논문을 통해 산불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도메인 지식 습득 2. 논문을 통해 산불의 진행 상황에 대해 도메인 지식 습득과 산불 초기진화의 중요성에 대해선행 연구 방안 습득 3. 논문을 통해 산불 초기 진화 방안 마련 - 데이터 수집 도메인 지식을 통해 분석에 필요할 것으로 보인 데이터 적극 수집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데이터에 대한 1차 분석 3. 통계 분석 1) 데이터 전처..

Project/Study 2023.05.22

[공공 데이터 API 활용] 산불 피해 최소화 - 1. 프로젝트의 시작

프로젝트의 시작 (2023.05.22 ~ 2023.06.23) 목차 1. 프로젝트 목표 2. 팀 구성 3. 세부 수행 내용 4. 습득 직무 역량 5. 과제 완성 절차 6. 세부 목표 일정 7. 과제 진행 상황 1. 프로젝트 목표 귀중한 자산이면서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는 산림에 대한 선제적 산불 예측 대응 체계를 위하여 산불위험 예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실시간 기상/지형 상태 및 SNS 정보 등을 활용한다. 산림재해가 빈번한 곳에 구축된 상악 자동 기상관측 타워로부터 습도, 강수량, 지면 온도, 기온, 기압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해 악기상이 산불 징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행정안전부의 SNS 데이터와 산불발생지의 산사태, 병해충, 산림 상태, 임산물 재배적지 정보 등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산불 위..

Project/Study 2023.05.22

[Python 실습 준비] 공공 데이터 오픈API 활용하기(1)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참고 이전글 [Python 실습 준비] 오픈API 활용하기(1) 오픈 API 요청키 생성 목차 1. Python 환경에서 불러오기 2. XML 3. JSON 4. DataFrame 변환 1. Python에서 불러오기 # 라이브러리 가져오기 import lxml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pandas as pd import time import math service_key = '인증키 입력하기' # 인증키 url = f'http://openapi.seoul.go.kr:8088/{service_key}/xml/tbLnOpendataRtmsV/1/5/' # 인증키 포함 주소 2. XML # XML 생성하기 req = requests.get(..

Python/Crawling 2023.05.18

[Python 실습 준비] 오픈API 활용하기(1) 오픈 API 요청키 생성

Kaggle Competition에 이어 이번에는 오픈 API를 이용한 실습을 해보려고 한다. 오픈 API란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정의 및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 이다. 간단히 말해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라고 생각하면된다. 오픈 API란 이 API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이다.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프로그래밍해 외부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사용자가 바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개방 형식이다. 개방된 오픈API를 이용해 다양하고 재미있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다. 실습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오..

Python/Crawling 2023.05.18

[Streamlit] 기본 API reference (기본 기능)

이번 글에서는 Streamlit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각 명령어들의 자세한 옵션 및 설명은 Streamlit 홈페이지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목차 강조 문구 제목 넣기 텍스트 넣기 Header SubHeader Markdown 색상이 들어간 텍스트 Feature ( Progress, Status 메시지 ) 텍스트 넣기 st.write( ) 도움말 확인 위젯 만들기 버튼 만들기 체크 박스 만들기 라디오 버튼 만들기 선택 박스 만들기 다중 선택 박스 만들기 슬라이더 만들기 데이터 불러오기 데이터 출력 각종 콘텐츠 출력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차트 출력 사이드바, 레이아웃 # -*- coding:UTF-8 -*- import streamlit as st impor..

Python/Streamlit 2023.04.2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