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코잼잼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필수적으로 해야 할 일중에 하나가 데이터의 수집과 논문, 학술자료 등의 지식정보 수집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을 참고하고 인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출처를 남겨야 합니다.
출처를 남김으로써 타인의 글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권 침해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러면 출처를 어떤 식으로 남겨야 할까?"]를 주제로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목차
- 1. 참고 자료 표기법의 종류
- 2. APA Style - 일반 사항
- 3. APA Style - 도서
- 4. APA Style - 학위 논문
- 5. APA Style - Web Page 및 SNS
1. 참고 자료 표기법의 종류
출처를 표기할 때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작자의 이름
- 날짜(date, year)
- 표제
- 온라인상 정보의 경우 :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그 외의 표기 내용이나 방법, 순서 등은 인용 양식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분야나 학계, 과정에 따라 잘 쓰이는 양식이 있습니다.
- 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교육학, 심리학, 과학 등 사회과학 분야
- MLA (Modern Language Association) : 인문학 등
- Chicago, Turabian : 경영, 역사, 순수예술 등
다음은 국제 학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양식들입니다.
(1) APA Style
-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국 심리학회) Style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
- https://apastyle.apa.org/6th-edition-resources/basics-tutorial
(2) MLA Style
- 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Style은 인문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
- 1951년 William Riley Parker에 의해 “MLA Style Sheet”로 발표된 것이 시초
- 각주와 내주의 두 가지 방식을 제공
- https://style.mla.org/works-cited/citations-by-format/
(3) Chicago Style
- Chicago Style은 20세기 초 Chicago University 출판부가 저서와 논문을 출판하는 과정에서 체제와 형식을 체계화하기 위해 작성한 한 장 분량의 기준이 모태
- 각주 및 내주의 두 가지 방식을 제공한다.
- 각주(notes and bibliography)는 문학, 역사, 예술 등 인문학 분야에서 선호
- 내주(author-date)는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선호
- https://www.chicagomanualofstyle.org/tools_citationguide.html
(4) IEEE Style
- IEEE는 Chicago Style을 준용하고 있지만, 본문 text 축소를 위한 간략한 인용주 표기로 변형하여 사용
- https://ieeeauthorcenter.ieee.org/wp-content/uploads/IEEE-Reference-Guide.pdf
이 외에도 여러 표기법이 있지만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글의 맨 아래 참고 자료(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페이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APA Style을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2. APA Style - 일반 사항
기본적으로 저자, 날짜, 제목, 출처가 들어갑니다..
다음의 내용은 논문 등에 참고문헌 기록 시 필요한 양식이므로 아직 지금 수준에서는 간단하게 알아만 두기로 하겠습니다.
- 저자 사항
더보기
- 국내를 포함한 중국, 일본, 대만 저자의 경우 성명을 그대로 기재
- 서양 인명은 성, 콤마 ‘,’ 이름의 순으로 기재하고 성 이외의 이름(first name, middle name)은 머리글자만 표기
- 2인 이상의 저자는 최대 20명까지 표기하며, 마지막 저자 앞에 콤마와 앤드 기호(, &)를 부기
- 20명을 초과하는 경우 19명까지 기입 후 생략기호(...)를 부기하고 앤드 기호는 생략 후 맨 마지막 저자를 기입
- 다른 저자이나 성과 이름의 머리글자가 같은 경우 저자명 뒤에 ‘[]’안에 완전한 이름을 표기
- SMS의 저자와 사용자명(username)을 함께 알고 있는 경우 저자명 뒤에 ‘[]’ 안에 기호 ‘@’(사용자명의 한 부분)과 함께 사용자명을 기입
- 저자의 역할어(편 Ed., 공편 Eds., 역 또는 옮김 Trans., 편역 Ed. & Trans., 작가 Writer, 감독 Director, 내레이션 Narr., 제작 Producer 등)는 ‘()’안에 기입함
- 저자가 없는 경우 대부분 제목으로 대신하며, 본문 내 인용에서와 같이 ‘저자미상’(서양문헌은 ‘Anonymous’)으로 명확히 표기된 자료는 ‘저자미상’으로 기입하고 정열
- 날짜 사항
더보기
- 주로 날짜는 발간연도를 ‘()’ 안에 기입함
- 신문이나 블로그 게시글과 같이 빈번히 발행되는 자료는 구체적인 날짜(월 또는 월일)까지 기입함
- 게재허가를 받았으나 출판되지 않은 자료는 ‘발행중’(서양문헌은 ‘in press’)으로 기입함
- 날짜를 알 수 없는 경우 ‘연대미상’(서양문헌은 ‘n.d.’)으로 기입함
- 원 자료의 날짜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약’(서양문헌은 ‘ca.’)와 함께 추정 날짜를 기입함
- 제목 사항
더보기
- 서양문헌의 경우 제목과 부제목(만일 있다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
- 독립형(stand alone) 자료의 제목은 볼드체(서양문헌은 이태릭체), 종속형(part of a greater whole)은 안함
독립형 자료 종속형 자료 단행본 및 참고 도서, 보고서, 학위논문, 소프트웨어, 비디오 및 영화, 작품, 앨범, TV 시리즈, 소셜미디어 게시물, 웹사이트 및 웹페이지 저널 논문 또는 잡지 기사, 신문 및 뉴스레터 기사, 블로그 포스트, 편집도서(edited book)의 챕터, 사전 및 백과사전의 표제어(entry), TV 시리즈의 에피소드, 팝캐스트의 에피소드, 노래명 * 종속형은 출처를 볼드체로 표기함 : 저널명, 잡지명, 신문명, 편집도서명 등 - 도서와 보고서의 경우 기입한 제목과 관련된 추가 정보(판(edition) 사항, 보고서 번호, 권(volume) 수)가 있으면 제목 뒤 ‘()’ 안에 기입하고 볼드체는 안함. 괄호 내에는 판, 권수, 페이지 번호 순으로 배열하고 ‘,’로 구분함
- 다권본 또는 연속간행물 성격을 띤 단행본 자료의 권차, 편차, 회차, 연차 등에 따라 별도의 제목이 있는 자료의 경우 권 수와 권차 제목을 ‘()’ 안에 기입하지 않고 부제목으로 취급함(단, 시리즈 제목-총서명은 생략함)
- 일상적인 학술 문헌(ex. 논문, 도서, 보고서 등) 외에 인용한 자료를 식별하기 위해 제목 다음에 ‘[]’ 안에 수록 매체와 같은 자료 형태에 대한 기술 기입(ex. 컴퓨터 소프트웨어 [Computer software], 데이터 파일[Data file], 인터넷 동영상 방송 [Video webcast], 동영상 [Motion picture], [CD])
- 제목이 없는 자료는 ‘[]’ 안에 가능한 수록 매체 정보와 함께 자료에 대해 간략히 기술함
- 제목이 없는 SMS 게시글은 게시글 내용의 최대 처음 20단어를 볼드체(서양문헌은 ‘이태릭체’)로 표기하고 ‘[]’ 안에 자료 형태 정보를 기술함
- 출처사항
더보기
- 출처는 크게 2개(발행 또는 수록 모체 정보와 DOI 또는 URL)의 하위 기술요소가 있음
- 종속형 자료의 출처는 모체(ex. 저널, 편집도서) 정보와 함께 가능한 DOI 또는 URL 기입
- 독립형 자료의 출처는 발행자, 데이터베이스, SMS 사이트, 웹사이트 정보이며 가능한 DOI 또는 URL도 함께 기입
- 저자와 발행자 또는 웹페이지 및 사이트명이 같다면 생략 가능
- 연속간행물(저널, 잡지, 신문, 뉴스레터, 블로그 등)은 간행물 명, 권(volume), 호(Issue), 수록 범위 또는 논문번호(있는 경우) 정보를 기입하며, 간행물 명과 권은 볼드체(서양문헌은 ‘이태릭체’)로 표기함. 대부분의 온라인 신문이나 블로그의 경우 권, 호, 수록 범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없는 정보는 생략함
- 편집도서 또는 참고문헌의 표제어(entry)를 인용한 경우 챕터의 저자와 챕터 제목 또는 표제어를 표기한 후(서양문헌은 ‘In’ 추가) 편집도서의 편저자(서양문헌의 경우 이름 성 순으로 기재), 도서 제목, 발행자 정보를 기입함. 도서 제목은 볼드체(서양문헌은 ‘이태릭체’)로 표기
- 발행자(출판사)에 관한 정보 중 발행지에 대한 정보는 생략함. 발행자가 2개 이상인 경우 ‘;’으로 구분함
- 특정 지역과 관련된 자료(회의자료, 발표자료 등)은 출처에 지역 정보를 기입함
- 데이터베이스 또는 아카이브 정보는 출처 검색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원 자료를 특정 데이터베이스 또는 아카이브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 정보를 기입함. 후자의 경우 볼드체(서양문헌은 ‘이태릭체’)로 표기. 일반적으로 도서관 등에서 제공하는 DB의 경우 생략함
- DOI 또는 URL은 참고문헌 목록에서 제일 마지막에 표기하는 요소이며, 관련 정보가 없으면 표기하지 않고 둘 다 있으면 DOI를 우선함. URL이 길거나 복잡한 경우 단축 URL을 기입할 수 있음
- DOI 또는 URL은 ‘https//’로 시작하는 하이퍼링크 형태로 표기하며, 앞에 ‘검색’ 또는 ‘접속’(서양문헌 ‘Retrieved from’ 또는 ‘Accessed from’)을 부기하지 않음
3. APA Style - 도서
- 저자명. (발행년). 도서 제목(판차, 권). 출판사. DOI or URL
► 기본 형식의 예시
- Hemingway, E. (1959).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김형일 역). 서울: 동학사. (원서출판 1956).
4. APA Style - 학위 논문
- 연구자명. (발행년). 논문명. 자료명(발행단체명), 권(호), 논문수록면수.
- 연구자. (수여년도).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명, 소재지.
► 기본 형식의 예시
- 김병철, 이정윤, 이건수, 김문석, 이영석, 정혜윤, 황일원. (1995). 신문과 방송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보과학회지, 42, 38-49.
- 김동기. (1999). 서비스의 質的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서비스 業體 및 機關 從事者를 中心으로.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5. APA Style - Web Page
- 저자명. (발행년). 웹페이지 자료 제목. 웹 사이트 명. DOI or URL
► 기본 형식의 예시
- 보건복지부. (연도미상). 의약분업 실시에 따른 영향분석 설명자료. http://www.mohw.go.kr
그 외 간행물, 데이터, 비도서자료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 바랍니다.
참고 자료: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2023). 참고문헌인용법.
728x90
반응형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 데이터 API 활용] 산불 피해 최소화 - 4. 회의록 및 기획안 (0) | 2023.05.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