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변수의 이해
1. 변수와 값
(1) “ ” 의 인식
- “ ”안의 내용을 하나의 값으로 인식
ex)
(2) 변수명 선언
- 변수명 선언 규칙 : 일반적으로 알파벳, 숫자, 밑줄(_)로 선언 (한글 사용 금지)
- 대소문자 구분
- 특별한 의미가 있는 예약어는 사용 금지
2. 데이터 타입(자료형)과 기본 연산
(1) 기본 데이터 타입
- 정수형 : int
- 실수형 : float
- 문자형 : str
- 불린형 : bool ( True = 1, False = 0 )
- 동적 타이핑 : 인터프리터 언어는 사용자가 아닌 프로그램이 자료형을 알아서 판단
num_int = 36
type(num_int)
# 36
# <class 'int>
my_height = 185.6
type(my_height)
# 185.6
# <class 'float'>
my_name="James"
type(my_name)
# James
# <class 'str'>
x = True
y = False
z = x == y
type(x))
print(z)
type(z)
# <class 'bool'>
# False
# <class 'bool'>
(2) 간단한 연산
- 사칙연산 : + - * /
- 제곱수 : a**b == a^b
- 몫과 나머지 : a//b == a/b의 몫,
a%b == a/b의 나머지
- 증감연산 : a+=1 # 1씩 증가 연산,
a-=1 # 1씩 감소 연산
- 논리연산
x = 10
y = 11
print(x == y)
print(x != y)
print(x > y)
print(x < y)
print(x <= y)
print(x >= y)
# False
# True
# False
# True
# True
# False
3. 데이터 타입 변환
(1) 정수형과 실수형 간 변환
- float( ) 함수 : 정수를 실수형으로 변환
- int( ) 함수 : 실수를 정수형으로 변환 (소수점 이하 내림)
* 별도의 형 변환을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료형이 변환되는 경우
- 동적 타이핑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 10 / 3
- ‘1(정수형) == True(불린형)’라고 입력하면 결과는 True로 출력
- 아무것도 넣지 않은 " " 같은 문자열을 불린형과 비교하면 False로 인식
(2) 숫자형과 문자형 간 변환
- 실수형 값을 문자형으로 선언하기 위해서는 따옴표를 붙여 선언
- str( ) 함수 : 숫자형을 문자열로 변환
(3) 자료형의 확인
- type( ) : 정수형=int
실수형=float
문자형=str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이론] 5. 함수 (0) | 2023.04.13 |
---|---|
[Python 이론] 4. 조건문과 반복문 (0) | 2023.04.13 |
[Python 이론] 3-1. List Comprehension (0) | 2023.04.13 |
[Python 이론] 3. 화면 입출력과 리스트 (0) | 2023.04.13 |
[Python 이론] 1. Google Colaboratory로 파이썬 시작하기. (0) | 2023.04.13 |